본문 바로가기

일반병실

[일반병실] 편마비 와상환자에게 맞는 휠체어 제품은?

728x90
반응형

본격적인 재활치료를 시작하기전

나의 환자에게 맞는 휠체어는?

[ 간병 투게더 ]

일반병실로 오게되면,

많은 간병용품들을 준비해야하는데요.

휠체어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뇌출혈, 뇌경색 환자분들은

의식이 없거나, 편마비가 있으시기에

조금이라도 편하고, 안전한 휠체어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대부분, 병원 근처의 의료기기 상가에서

휠체어를 대여하시다가,

나중에 휠체어를 구매하시는데요.

(요양등급은 대여, 장애등급은 할인 구매)

대부분 내구연한이 5-6년정도입니다.

여러가지 휠체어 종류가 있으니,

나의 환자의 신체특성에 맞는 휠체어를

선택하셔서 후회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간략하게 정리해둘께요.

(정리하고 보니 간략하지 않네요;;;)

1. 휠체어 종류

1) 수동 휠체어 - 고정형, 접이형, 일반형, 활동형, 소아용, 자세변환용 등

2) 전동 휠체어 - 일반형, 특수형

2. 휠체어 선택 기준

1) 수동 휠체어

- 장시간 추진할 수 있는 상지의 근력/지구력이 있을때

- 상지의 근골격계 질환(통증)이 없을때

- 주로 단거리이동이나 실내이동이 많을때

2) 전동 휠체어

- 독집적인 추진이 불가능할 때(상지 근력이 없을때)

- 장거리 이동시 체력보존이 필요할때

- 장거리 이동이 필요한 경우

3) 전동 스쿠터

- 전동 휠체어 사용자에 비해 상지 근력이 좋을때

- 수동휠체어의 독립적 추진이 불가능할때

- 장거리 이동시 체력보존이 필요할때

3. 휠체어 선택시 고려할 사항

1) 연령 - 장애아동의 성장속도

2) 사용환경 - 휠체어 동선, 위치, 통과할 폭 고려

3) 성별 - 체지방 분포, 체지의 길이, 해부학적 구조, 신체 중심

4) 신장 - 앉은 키에 따른 좌석높이

5) 체중 - 과체중 환자는 중경량성 프레임 확인

6) 취미 및 관심분야 - 이동 편의성, 활용성 고려

4. 휠체어 사용자의 신체측정법

1) 좌석넓이 - 골반의 가장 넓은 면보다 2~5cm 넓게

2) 좌석깊이 - 무릎 뒤쪽과 의자사이의 간격이 5cm 유지

3) 등받이 높이 - 상지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

4) 좌석 높이 - 이용자의 하지부분이 자세를 유지할 수준

5) 발걸이 길이 - 약 90~100도 정도 유지될 수준

6) 팔걸이 높이 - 팔을 걸었을 때 1인치의 여유공간필요

※ 팔걸이가 높으면, 견갑골 상승으로 자세가 불편함

7) 부가계측 - 받침대, 지지대 사용시 주변의 방해가 없도록

5. 휠체어 지원받기

- 아래의 보조기구 공적급여 참고

6. 휠체어 사용시 주의사항

1) 타이어의 공기압 점검

2) 계단, 경사로, 에스컬레이터 이용 주의

3) 뒷주머니에 무거운 물건 넣지 않기

4) 1개월마다 볼트, 너트 등 잠금장치 조임

5) 주행중 물건을 잡으로 하지 않기

6) 경사길에서는 상반신을 휠체어 밖으로 내밀지 않기

7) 경사길에서 방향전환시 정지후, 방향 선회하기

8) 휠체어를 타고 내릴때 반드시 브레이크 채우기

※휠체어 내리기전, 최대한 휠체어에 몸을 밀착

9) 보호자의 도움없이 차체를 기울이지 않기

10) 발판을 디담발처럼 사용하지 않기

11) 눈, 얼음, 물이 있는 경사로는 사용하지 않기

7. 휠체어 사용자가 주의해야하는 질환 및 증상

1) 배뇨곤란

2) 경직

3) 기립성 저혈압

4) 욕창

5) 골다공증

6) 부종

7) 자율신경 과반사증

출처 -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728x90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간병투게더 | 이종호 | 서울 관악구 신림로68길 25 205 | 사업자 등록번호 : 442-50-00500 | TEL : 070-7543-8975 | Mail : care-together@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20-서울관악-0199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